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밝기에 따라 별을 분류하는 방식

by 벌꿀이다 2023. 12. 31.

별의 밝기에 따른 분류는 별의 광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주로 절대등급과 겉보기등급을 사용하여 별을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별의 겉보기등급 (Apparent Magnitude)

별의 겉보기 등급은 별이 지구에서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것은 관측된 별의 밝기를 나타내며, 별이 지구에서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설명합니다. 이것은 별이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에 대한 관측적인 정보입니다.

겉보기 등급 시스템은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표현됩니다. 숫자가 작을수록 별이 더 밝게 보입니다. 가장 밝은 별들은 음수 등급을 갖고, 더 어두운 별들은 양의 등급을 가집니다. 이 등급은 별의 밝기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1등급 이하: 가장 밝은 별들로, 태양보다 밝거나 같은 별들입니다.
  • 0에서 1등급: 밝게 보이는 별들로, 태양보다 약간 어두운 별들입니다.
  • 2에서 6등급: 눈에 보이는 한계 이내의 별들로, 6등급은 눈에 보이기 시작하는 가장 어두운 별들입니다.

이 등급 시스템은 우리가 별을 보고 평가할 때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천문학자들이 별들을 분류하고 연구할 때 사용되는 중요한 정보 중 하나입니다.

 

별의 절대등급 (Absolute Magnitude)

별의 절대등급은 별이 얼마나 밝게 빛을 내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것은 별이 얼마나 밝게 빛을 내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측정으로, 별의 실제 광도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모든 별들을 동일한 거리로 이동하여 비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별의 절대등급은 별이 10 파섹(약 32.6 광년) 떨어진 거리에서 얼마나 밝게 빛을 내는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즉, 이것은 모든 별들을 동일한 거리로 이동하여 비교했을 때 별이 얼마나 밝은지를 나타냅니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광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별들의 밝기를 비교하고 분류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절대등급은 '등급'이 아닌 '등급 절대값'이라는 의미에서 정의되는데, 별의 실제 광도에 대한 측정이기 때문입니다. 이 값은 음수일 수 있으며, 수치가 작을수록 별이 더 밝은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0이나 음수에 가까운 절대등급을 가진 별들은 매우 밝은 별들이고, 수치가 증가할수록 어두워집니다. 절대등급은 별들 간의 밝기를 비교하고, 그들의 실제적인 광도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밝기 분류 시스템은 별의 실제 밝기와 지구로부터의 관측된 밝기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겉보기등급은 지구에서 별을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반면,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광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별들 간의 밝기를 비교하고 분류하는 데에 유용합니다.